야식을 먹으면 수명이 단축된다는 연구결과
평소에 출출하면 찾게 되는 라면, 빵, 과자, 남아있는 음식 등을 밤에 먹으면 야식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동물실험 결과에 의하면 야식을 먹지 않으면 수명이 길어진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야식을 먹지 않는다면 수명이 길어진다는 연구결과
기존의 연구에 의하면 칼로리 섭취량을 엄격하게 제한하면서 필수 영양분을 섭취한다면 수명이 늘어났습니다. 먹이가 부족한 상황에서 신진대사는 몸의 변화를 일으켜서 수명을 연장시켰고, 노화로 인해서 생기는 질병은 지연시키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실험은 파리와 설치류, 원숭이 등의 다양한 실험체들을 대상으로 얻은 결과입니다.
최신 진행했던 연구에서는 미국 텍사스 대학교 연구진이 실험용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기존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섭 취연량을 제한하였고, 이번에는 먹이를 섭취하는 시간도 제한시켰습니다.
생쥐는 야행성이기 때문에 생체리듬이 가장 활동적인 시간인 일몰에서 일출에만 먹이를 주었습니다. 그랬더니 먹이의 양과 시간에 구애받지 않게끔 마음껏 먹은 생쥐들에 비하여 수명이 35퍼센트나 더 늘어난 것입니다.
반면에 아무 때나 음식을 먹고 싶을 때 먹은 생쥐들의 수명은 평균 800일 정도였으며, 섭취 열량을 30퍼센트에서 40퍼센트 정도 줄이고, 제일 활발한 시간에만 먹이를 먹인 생쥐들은 평균 1070일 정도를 살았습니다. 그리고 정반대로 같은 양의 가장 비활동적일 때 먹이를 먹인 생쥐들은 959일이며, 아무 때나 먹이를 먹은 생쥐는 875일 정도를 살았습니다.
결국에는 섭취 열량을 절제하면 수명이 늘어나는 것이며, 그 효과는 활동시간에만 음식을 섭취했을 때 가장 효과가 큰 셈이었습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조셉 타카하시 박사'는 연구결과가 사람에게도 들어맞는다면, 야식을 먹는 행위는 삼가야 되지 않을까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다른 연구결과에 의하면 야식을 섭취한다면 신체가 혈당을 건강 수준으로 조절시키는 능력을 방해하며, 저녁식사 이후에 간식을 섭취한다면, 적어도 3시간 이후에 소화를 시키고 수면에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매체인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소개를 했습니다.